보통의 가족 – 내 아이가 범죄를 저질렀을 때 나는 어떻게 할까를 고민하게 하는 영화
감독 : 허진호(대표작:8월의 크리스마스, 봄날은 간다, 덕혜옹주 등)
출연 : 재완(설경구), 재규(장동건), 연경(김희애), 지수(수현), 혜윤(홍예지), 시호(김정철)
줄거리
재벌 2세의 고의 추돌사고로 사망 사건이 발생하자 형 ‘재완’은 변호를 맡게 되는데, 돈을
위해서라면 의뢰인의 도덕성에는 상관없이 승소를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변론하게 된다.
재완이 맡은 사고의 사망자 딸은 중퇴로 병원에 입원하게 되는데, 우연히 동생 재규가 그녀의
담당 의사가 되고 재규는 그녀의 딱한 사정을 듣고 금전적인 어려움으로 수술이 어렵게 되지만
재규는 사람부터 살리자며 수술방 부수술방부터 잡고 수술을 할 정도로 인간미가 있다.
재완과 재규는 그들의 가정도 차이가 난다. 재완은 첫 번째 아내와 사별한 후 한참 연하인
지수와 재혼하여 늦둥이까지 얻었으며 재규보다 부유하게 살고 있다. 재규는 연상의 아내
연경과 아들 시호를 두고 치매인 어머니를 모시고 산다. 시호는 학교 성적이 안 좋고
괴롭힘을 당한다. 반면 재완의 딸 혜윤은 외국 명문대에 합격할 만큼 공부를 잘하며 친구들과
잘 어울린다.
재규는 재완이 '돈이 되면 누구라도 변호한다'며 형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다. 형은 동생이
더 훌륭한 걸 안다며 재규의 비난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재완은 동생에게 환자는 꼭 살리라고 말한다.
재완은 식사 자리에서 치매인 어머니를 요양원에 보내자고 하지만 재규는 탐탁지 않게
생각하고, 재완은 재규에게 자신이 맡은 사건에 대해 말하며, 의뢰인은 과실치사이니 피해자
가족에게 합의하라고 설득할 것을 부탁한다. 식사를 마치고 도로에 선 재완. 재규가 그를 향해
위협적으로 운전해 보이면서 '만약 이대로 사고가 났으면 도로에 있던 너에게도 책임이 있다'라고
말하고 떠난다.
부모들이 식사하는 동안 혜윤과 시호는 그들만의 파티장으로 가서 술을 마시게 되는데,
시호가 취하게 되어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노숙자를 무차별 폭행하게 된다.
이 장면은 CCTV에 찍히게 되어 뉴스에 나오게 되고, 연경은 아들의 옷에 피가 묻은 것을 보고
뉴스에서 나온 가해자가 아들인 것을 알고 벌벌 떨며 세탁해 버린다.
혜윤은 다른 사람 핑계를 대고 폭행 사실에 대해 재완에게 얘기하지만,
딸이 가해자임을 알아차린다..
재규는 뉴스를 보고 직감적으로 시호가 범인인 것을 알게 되면서 재완과 재규,
연경과 지수가 그들의 자녀인 혜윤, 시호와 겪게 되는 심리 변화와 도덕적 딜레마에 빠져
우울한 결말로 달려가게 된다.
결정적 장면
자신의 딸의 이중인격적 태도를 알고 나서 자신이 변론했던 재벌 2세의 뻔뻔한 모습을 떠올릴 수밖에 없었던 재완과 달리시호는 적어도 부모 앞에서 두려워하고 눈물을 흘리며 가책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 주었기 때문에 그것이 가식이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재규는 자식을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형제가 초, 중반까지 보여주었던 모습이 완전히 뒤바뀌었던 것 같다.
총평
자식이 우발적이었지만 살인을 저질렀을 때 부모는 어떤 윤리적 태도를 가져야 할까? 일반적이라면 재규가 초반에 보인 태도와 행동이 아마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분명 잘못된 행동이었고 안타깝고 애석하겠지만 자식의 나은 미래를 위해 법적 처벌을 받게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덕적 딜레마에 빠지지 않을 수 없을 수도 있겠다. 영화에서 처럼 아무도 본 이가 없었고, 피해자는 노숙자였으며 그는 죽었기 때문에 증인, 증거가 없어졌을 때, 실제 우리는 어떤 결론을 내렸을까 영화를 보는 내내 고민해 보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자식을 양육하고 있는 모든 부모의 숙명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도덕적 갈등 양상을 배우들은 그들의 뛰어난 내공을 통해 믿음직하게 보여주었고, 도덕을 고민하던 동생은 생존을 위한 선택을 , 성공을 쫒던 형은 스스로 제동을 걸게 되는 과정이 다소 도식적인 인상을 주었지만 가족 군상 극으로서 지닌 뚜렷한 알레고르를 장점으로 볼 수도 있겠다. 마지막 반전이 결말에서 볼 수 있었는데.... 다소 황당하긴 했으나 어찌 보면 극 중간에 이미 복선을 깔았는데도 눈치를 못 챘으니 감독이 영악하긴 했다.
무거운 주제의식을 적나라하게 펼치는 극 자체를 즐길 줄 안다면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지만, 간단한 오락용으로 보려는 사람들에게는 조금 후회스럽지 않을까 싶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설 - 풋풋한 첫사랑 느낌 여름의 상큼한 사랑 이야기 (2) | 2024.11.10 |
---|---|
파묘 - 섬뜩한 과거와 마주치게 되는 영화 (7) | 2024.11.09 |
탈주 - 탈주하는 자와 추격하는 자 (11) | 2024.11.08 |
베테랑2- 750만이 선택한 범죄 수사 액션 영화 소개 (12) | 2024.11.07 |
아마존 활명수-한국식 코믹, 감동 영화 소개 (8) | 2024.11.03 |